Q : JAVA에서 DB연결할 때 try~catch문을 왜 강제로 쓰게 하나요?




A : JAVA에서는 실행 타임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곳이면 컴파일러 차원에서 에러 처리를 사용하도록 강요합니다.

자바에서 발생하는 오류에는 두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자바에서 발생하는 오류]

 첫째

 컴파일 타임의 오류

 자바의 문법적 오류로 에러시 손 쉽게 처리가능

 둘째

 실행 타임의 오류

 컴파일은 되나, 실행이 안 되는 에러로 디버깅이 어려운 오류로 디버깅 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거의 잡을 수 없는 심각한 에러


프로그래밍 중 가장 문제가 되는 것 또한 실행 타임의 오류일텐데요 실행 타임의 오류를 줄이고, 시스템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에러처리(오류처리)라는 것을 사용하는데 흔히 이것을 try~catch(finally)문 이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Exception의 처리를 보면서 이렇게 이해하셔야 합니다. Exception은 실행 타임에 발생하는 에러 이벤트구나! 그렇다면 Exception은 어디에쓰는가는 조금만 공부하시면 됩니다. 그건 JAVA에서는 이미 실행 타임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곳이면 컴파일러 차원에서 에러처리를 사용하도록 강요합니다.


에러처리를 사용해야 하는 곳

- 네트워크 소켓

- 데이터베이스 입출력

- 파일 입출력

- 스레드 관리


위와 같은 곳에서 사용을 하며 JAVA에서는 위와 같은 곳에서 try~catch문을 강제?로 사용하게 합니다.

Posted by 일단생각좀

아두이노(Arduino)란?



위에서 왼쪽에 있는 제품이 아두이노(Arduino) UNO입니다. UNO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모델들이 있지만 우리는 이러한 제품들을 아두이노(Arduino)

Posted by 일단생각좀


요즘 인공지능분야의 꽃을 피우고 있는 딥러닝을 간단하게 접할 수 있는 텐서플로 첫걸음이라는 책입니다. 구글에서 개발한 텐서플로라는 프로그램은 수치 연산을 기호로 표현한 그래프 구조를 만들고 처리한다는 기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구현되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텐서플로의 장점이 CPU와 GPU의 이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알고리즘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해주는 텐서보드(Tensor Board)모듈이란 것을 제공한다는 겁니다. 앞으로 이 모든 것을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노트북) : 엘지전자 그램PC 15ZD960-GX70K

제품 정보 : 화면크기 39.62cm(15인치) / CPU : i7-6500U(스카이레이크) / 운영체제 : 윈도우10 pro(64bit) / SSD : 1TB(교체) / 메모리 8Gb


S/W

파이썬 3.6

+ 추가예정 S/W 다수.

Posted by 일단생각좀
이전버튼 1 2 3 4 5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일단생각좀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7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